한진중공업 해고노동자로 35년간 복직투쟁을 이어온 김진숙 민주노총 지도위원은 노동자를 '소금꽃나무'라고 불렀습니다. <br /> <br />얼마 전 마무리된 '희망뚜벅이' 행진엔 개인의 복직을 넘어, 수많은 '소금꽃나무들'의 염원이 담겼는데요. <br /> <br />사람, 공간, 시선을 전하는 인터뷰에서 김진숙의 삶을 통해, 수십 년이 지나도 그대로인 노동 현실을 어떻게 바꿔나가야 하는지 고민했습니다. <br /> <br />부산에서 서울까지 400km 넘는 길을 걸었다. <br /> <br />암이 재발했지만, 치료도 미뤘다. <br /> <br />그는 해고된 지 35년 된 노동자다. <br /> <br />[김진숙 / 한진중공업 해고노동자 : 노동자들이 조선소에서 또는 현장에서 일을 하면 땀이 옷에 막 배잖아요. 그런데 그게 마르면 하얗게 '소금꽃'이 펴요. 그리고 그 옷을 입고 있는 노동자들 자체가 '소금꽃나무'라고 저는 생각을 했고.] <br /> <br />안 해본 노동이 없었다. <br /> <br />[김진숙 / 한진중공업 해고노동자 : 아마 제가 시내버스 안내양이나, 신발공장이나, 도색공장이나, 신문배달이나, 우유배달이나 이런 일들을 안 해봤으면, 저는 조선소 노동을 하루도 못 견뎠을 거예요.] <br /> <br />1981년, 한진중공업(당시 대한조선공사)에 입사하자마자 맞닥뜨린 건 극심한 차별이었다. <br /> <br />용접공이던 그는 식당도, 화장실도, 통근버스 좌석도 이용할 수 없었다. <br /> <br />[김진숙 / 한진중공업 해고노동자 : 그 공장을 다니면서도 권리가 뭔지 몰랐었어요. 어떻게 해야 이 삶이 바뀌는지를 몰랐습니다.] <br /> <br />여러 차례 건의도 해봤지만, 바뀐 것은 없었다. <br /> <br />부당함을 적은 유인물을 돌렸다가 대공분실로 끌려갔다. <br /> <br />모진 고문을 당하고 돌아온 사람에게 회사는 해고를 통보했다. <br /> <br />노동자 권리를 함부로 외친 '죄'로 블랙리스트에 올라, 다른 직장을 구할 수도 없었다. <br /> <br />[김진숙 / 한진중공업 해고노동자 : 그냥 한 사람의 노동자로 인간답게 살고 싶었던, 누구나 다 꿈꿔왔던 그 꿈을 표현했다는 게 '죄'였는데, 그걸 '죄'로 만든 세상에 대해서 제가 굴복할 수는 없잖아요.] <br /> <br />투쟁 과정에서 수배와 투옥, 고공농성 등 온갖 시련을 겪어야 했지만, 정작 비수가 된 건 동료들의 죽음이었다. <br /> <br />수감 중 의문사한 입사 동기 박창수를 비롯, 김주익과 곽재규, 최강서, 김금식은 그에게 지울 수 없는 상처다. <br /> <br />[김주익·곽재규 합동장례식 추모사 (2003년) : 1970년에 죽은 전태일의 유서와 2003년 김주익의 유서가 같은 나라. 우리가 뭘 그렇게 죽을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22021273674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